캠퍼스투어053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53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ebook 캠퍼스투어(Campus Tour)

By 명화, 조

cover image of 캠퍼스투어053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53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카이스트(KAIST)는 1971년 설립된 한국과학원(KAIS)을 모태로 성격이 상이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1966)와 한국과학기술대학(KIT)(1984)은 물론 심지어 사립대학교인 한국정보통신대학교(韓國情報通信大學校,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ICU)(2002)와 통합한 매우 특이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과학도시 대전'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으로 대덕 캠퍼스를 중심으로 대전 문지 캠퍼스와 서울의 홍릉 캠퍼스(舊 홍릉과학기술연구단지, 경영대학, 고등과학원), 도곡 캠퍼스 총 4곳의 멀티 캠퍼스 체재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전 문지 캠퍼스는 카이스트와 2009년 통합한 한국정보통신대학교(韓國情報通信大學校,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ICU)가 있던 곳으로 대덕 캠퍼스에서 버스로 약 7 km, 40분 거리. 서울의 홍릉 캠퍼스는 한국과학원(KAIS)이 있던 곳으로 카이스트 경영대학과 고등과학원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캠퍼스투어(Campus Tour)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진리여행을! B과학과 기술의 융합, 정문(正門)(E1) : 카이스트의 정문은 정말 알쏭달쏭하게 생겼습니다. 정면에서 볼 때는 평범한 2개의 화강석 기둥이지만, 측면에서 바라보면 가운데가 정확하게 '철(凸)'자로 뚫려 있거든요. 전국의 대학교 정문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파격적인 디자인이죠. '과학과 기술의 융합을 의미'하며, 놀랍게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문과 같은 형상입니다. 단 서울과기대는 양각, 카이스트는 음각이란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카이스트는 '학교 전체에 담장이 없는 오픈 캠퍼스'인데요, 캠퍼스에 입장하기 전에 직접 확인해 보자구요!장영실상, 타임광장, 뉴턴의 사과나무 : 대한민국이 배출한 과학자 장영실 동상을 보면 측우기를 짚고 있는 왼손에 비해 오른손이 허전해 보입니다. 본디 오른손에 측정 도구인 '자'를 들고 계셨으나, 축제 때 흥에 겨운 어느 학우가 자를 뽑고 대신에 소주를 한 병 선물로 드렸다는 카더라가... 동상 발밑에는 카이스트 백주년인 2073년 개봉할 타임캡슐이 파묻혀 있습니다. 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한 영국 켄싱턴 사과나무 후손도 식재되어 있습니다. 번외적으로 뉴턴의 사과나무는 부산 부경대 용당 캠퍼스에서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오리연못{舊 석림지(碩林池)} & 석림(碩林)의 종(까리용) : 카이스트 캠퍼스의 동쪽(E)과 서쪽(W)을 잇는 오리연못은 공중에서 보면 오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별칭입니다. 본래 명칭은 석림지(碩林池)입니다만... 잔디밭 곳곳에 오리의 흔적(?!)이 남아 있으니 이곳에서 낮잠 자는 것은 삼가세요. 비공식적으로 총장님보다 높은 카이스트 서열 1위라는 카더라가... 오리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면 모든 차량이 멈춰야 합니다. 석림지(碩林池)에는 빨강, 파랑 그리고 녹색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구불구불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조형물이 떡하니 자리잡고 있습니다. 조형물 상단부에 원형으로 여럿 종이 매달려 있는데요, '석학들의 숲에 울려 퍼지는 종소리'란 의미를 담아 '석림(碩林)의 종'이라 명명되었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그저 까리용(불어 악기 이름)이라고 부른다는... 오리연못과 오리광장을 가로지르는 건널목에는 오리 조심?!(Geese Crossing)에 해당되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Geese가 오리 맞죠?!인류 역사상 최초에 도전한다, 정문술빌딩(E16) : 정문술빌딩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하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해 달라"는 조건으로 미래산업 정 회장님이 기탁한 60억으로 신축한 건물입니다. 바이오 및 뇌공학과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 회장님 또한 성과를 거두기 전에는 방문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히셨기 때문에 완공식 때도 참석하지 않으셨답니다. 기탁자의 이름이나 기업명의 붙여진 건물은 셀 수도 없이 많지만, 스토리가 가장 돋보인 건물로는 카이스트의 정문술빌딩을 꼽고 싶네요. 정 회장님이 언제 오실지는 이제 바이오 및 뇌공학과 학생들의 손에 달렸겠죠? 빌딩 상단부에 설치된 시계는 태양열 에너지로 작동하는 2억 원 상당의 물건이니 꼭 본인의 시계와 시간을 맞춰보기 바랍니다. 카이스트 대덕 캠퍼스는 사실 대덕에 없다?! : '대덕 캠퍼스'는 사실 대전 대덕구가 아니라, 유성구에 있습니다. 대덕 캠퍼스의 대덕은 '대덕구'가 아니라, '대덕연구단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밭대학교 대덕신학융합캠퍼스,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 등 대전의 적지 않은 유성구 소재 대학교가 '대덕 캠퍼스'란 지명을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심지어 대덕대학교도 주소지는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가 있던 (대전군과 회덕군을 합친) 충남 대덕군(大德郡)은 1983년 대전직할시로 통합되었습니다. ...

캠퍼스투어053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53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