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타이베이의 탄생

ebook 보이지 않는 타이베이와 볼 수 있는 타이베이

By 수숴빈

cover image of 현대 타이베이의 탄생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이 책은 자연적 도시 확장의 결과로 보여지는 (하나의 도시가 된 타이베이) 현상이 사실은 근대 국가권력이 작용한 인위적 산물이며, 이 작용은 일본 통치 시기 중 특히 1900년에서 1910년 무렵에 진행됐다는 사실을 말하려 한다. 도시 확장, 공간 변화, 기술 증진의 배후에는 청 제국과 일본 제국주의의 다른 통치형태가 도사린다. 청말의 '세 개 거리'가 일본 통치 시대 '하나의 도시'로 전환됐다. 또한 '전근대 사회'가 종결됐고 '근대사회'가 도래한다. '지역사회'가 약화됐고 '공간 사회'가 부상했다.—- p. 26실측 조사를 통한 상세 지도 제작은 곧 일본이 통치에 필요한 '시선'을 대만에 배치했다는 뜻이다. 나는 이 배치를 '시각화의 논리'라고 부른다. 권력자는 공간을 추상화 논리로 지배한다. '모든 사람'이 공간에 구축했던 장소를 지운다. 이후 공간은 특수한 내재적 법칙으로 발전하면서, 구체적인 인간의 존재를 무시한다. 인간의 장소감을 벗기고 계산과 계획을 덧대 시각화가 시작되는 순간, '현대'가 출발했다.—- p. 186타이베이는 언제 제어 가능한 '하나의 도시'가 되었는가? 이 책은 타이베이가 제국 중국(청나라)이 아니라 일본 식민지 시기에 완성됐다는 사실을 설명하려 했다. 하나의 완전한 현대 타이베이시의 출현은 인구 증가나 시가지 확장 같은 '자연적' 현상의 결과가 아니다. 오히려 공간에서 작동하는 특정한 현대 권력의 '사회적' 산물에 가깝다. 타이베이시는 전통과 결별하고 현대로 나아갔다.—- p. 333

현대 타이베이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