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료 이백원

ebook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By 강경애 지음

cover image of 원고료 이백원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원고료 이백원」 은 1935년 2월 『신가정』에 발표된 강경애의 단편소설이자 자전소설이다. 오랜 만에 원고료로 큰 돈이 생겼고, 이를 사사로이 쓰고 싶은 욕구와 공리적인 입장 사이에서 방황하는 화자의 내적 갈등을 동생 K에게 보내는 편지형식으로 진솔하게 고백하고 있다.

작품 맛보기

집안 형편이 어려웠던 \'나\'는 때때로 학비를 내지 못해 학교에서도 눈칫밥을 먹는 신세였다. 형편이 넉넉한 아이들이 다니는 여학교에서 학용품 살 돈도 없어 남의 책을 빌리거나 동무의 붓을 훔치려다 선생님한테 꾸지람을 듣는다. 그렇게 가난한 유년시절을 보냈던 \'나\'가 D신문에 장편소설을 연재하여 원고료로 꽤 큰 돈도 받게 된다. 그래서 이 돈으로 그동안 갖고 싶었던 털외투, 목도리, 구두, 금반지, 시계 등을 살 생각에 들떠 있었는데...

작품 속으로

\"그래 당신은 그 돈을 어떻게 썼으면 좋을 듯싶소?\"

그 물음에 나는 혀를 깨물고 참았던 눈물이 샘솟듯 쏟아지더구나. 그 순간에 남편이야말로 돌이나 깎아논 듯 그렇게도 답답하고 안타깝게 내 눈에 비취어지더구나. 무엇보다도 제가 결혼 당시에 있어서도 남들이 다하는 결혼반지 하나 못해 주었고 구두 한 켤레 못 사주지 않었겠니. 물론 그것이야 제가 돈이 없어서 그리한 것이니 내가 그만한 것은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돈이 생긴 오늘에 그것도 남편이 번 것도 아니오 내 손으로 번 돈을 가지고 평생의 원이던 반지나 혹은 구두나를 선선히 해 신으라는 것이 떳떳한 일이 아니겠니. 그런데 이 등신 같은 사내는 그런 것은 염두에도 먹지 않는 모양이더라. 나는 이것이 무엇보다도 원망스러웠다.


강경애(姜敬愛)

일제강점기 여성 소설가, 작가, 시인, 페미니스트 운동가, 노동운동가, 언론인이다. 한때 양주동의 연인이기도 했다.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했다가 동맹 휴학과 관련하여 퇴학당하고, 이후 동덕여학교에서 1년 정도 수학했다. 1924년 문단에 데뷔하였으나 여성 작가에 대한 혹평과 외면을 당하기도 했다. 1931년에 장편 소설 『어머니와 딸』을 발표한 후에, 주로 빈민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대표 작품으로는 단편 소설 「지하촌」, 「채전」, 「소금」, 「어둠」과 장편 소설 『인간 문제』가 있다.
원고료 이백원